이철우 경북도지사와 22개 시·군의 시장·군수가 공동 참여하는 최고 정책협의체인 ‘경북 지방정부 협력회의’가 지난 17일 공식 출범했다. 
이철우 지사와 시장·군수들은 이날 청송 유교문화전시체험관에서 첫 회의를 열고 지방정부 협력회의 구성·운영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하고 새로운 지방자치 및 분권 협력 모델을 만드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협력회의 공동의장은 이철우 지사와 김주수 경상북도시장군수협의회장(의성군수)이 맡았다. 지방정부 협력회의 위원으로는 도지사와 시장·군수 외에 대학·경제·연구기관 대표로 경북RISE 위원회 공동위원장 정태주 안동대 총장,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 유철균 경북연구원 원장이 참여한다. 특히 이번에 출범한 ‘경북 지방정부 협력회의’는 현재 운영 중인 시·도지사협의회, 시·도의회 의장협의회,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시·군 및 자치구의회 의장 협의회 및 중앙지방협력회의와 차별화를 두고 있다. 경북 지방정부 협력회의는 광역과 기초자치단체인 경북도와 22개 시·군을 처음으로 대등하고 협력적인 관계로 재설정해 그동안 수직적으로 이어온 도와 시·군 간의 관계를 파격적으로 혁신해 나갈 계획이다. 안건 상정은 반드시 상향식 과정을 거쳐 선정하고, 안건 제안 건수와 비중도 경북도와 시장·군수협의회에 균등하게 배분한다. 이를 통해 경북도는 새로운 지방자치 및 분권 협력 틀의 모델을 제시하고, 지방자치와 분권, 균형발전, 국책사업, 국제행사, 지방소멸 대응, 저출생 극복, 재난 안전 등 지방과 관련한 주요 정책은 도와 시·군이 입안단계부터 실행 및 후속 조치까지 협의하고 협력해 성과를 공유한다. 회의는 분기별 1회 개최한다. 안건 심의 결과 후속 조치로 경북연구원 내 전문가 지원단을 운영해 도정 시책에 반영하거나 정부 정책화 및 법·제도화 건의로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철우 지사는 “민선 자치 30년을 거치는 동안 지방정부는 풀뿌리민주주의 정착과 함께 지방자치를 통한 국가와 지역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지만, 아직도 중앙정부 주도로 지방정책이 결정되고 있어 지방정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정부도 충분한 역량이 갖춰진 만큼 중앙정부의 권한은 과감하게 지방정부로 이양시키는 지방분권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면서, “이번에 시장·군수협의회와 공동 구성한 지방정부 협력회의는 지방정책 최고 심의·합의제 기구로서 새로운 지방분권 협력 모델이 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