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문경 영순지구 혁신농업타운에서는 이모작 공동영농에 동참한 농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소득 추가 배당식이 열렸다.
문경 영순지구에서 혁신농업타운을 추진하는 늘봄영농조합법인은 지난해부터 농가 80호와 함께 기존 벼를 심던 110ha 논을 이모작으로 전환해 콩 214t, 양파 4,600t, 감자 900t을 생산했다. 그 결과 총 48억원의 수익을 올렸고, 인건비, 경영비 등을 제외한 법인수익(총수입-경영비)은 2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법인에서는 평당(3.3㎡) 500원(총 1억 5,900만원)의 추가 배당을 전격적으로 지급했다. 이는 지난해 연말 평당 3,000원(총 9억 9,800만원)을 포함해 농가가 받은 배당은 총 3,500원(총 11억 5,700만원)이 됐다. 농가가 직접 벼농사를 지었을 경우 평당 2,350원 정도의 소득이지만 이모작 공동영농 시 3,500원의 배당소득과 영농참여로 받은 인건비 1,200원을(총 3억 9,700만원을 평당으로 나눈 금액) 더해 평균 4 700원으로 소득이 두배가 됐다.
추가 배당식에 참석한 홍윤식 농가는 “공동영농을 하면서 작년 연말에 배당을 받고 오늘 또 추가로 받으니 난생 처음으로 보너스를 받은 기분이다”고 기뻐했다. 문중 땅을 관리하는 홍봉조 농가는 “예전에는 만 평에 평당 1,000원씩 총 1,000만원의 임대료를 받았는데 이젠 3,000만원에 추가로 500만원을 더 받으니 우리 문중 내에서도 칭찬이 자자하다”고 고마움을 표했다. 홍의식 늘봄영농조합법인 대표는 “공동영농을 하며 우여곡절도, 고민도 참 많은 한 해였다. 농사가 잘되어 주주들인 농가들에게 추가 배당을 할 수 있어 더욱 기쁘다”며, “타 지자체나 농업 관련 기관들이 한 달에 2~3번은 찾아오는데 대한민국 대표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우리나라 벼 면적 10%만 타 작물로 전환해도 쌀값 문제는 저절로 해결된다. 경북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업대전환이 쌀값을 해결하고, 식량 자급률을 높일 수 있는 우리 농업이 직면한 위기를 타개할 해법이 될 거라 확신한다”며, “대한민국 농업의 틀을 확 바꿀 수 있도록 경북 농업대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늘봄영농조합법인은 지난 1년간 벌어들인 수익은 23억원으로, 법인 경비를 제외한 순수익은 20억원이다. 농가들 배당금으로 12억원을 지급하고 4억원은 내년을 위한 적립금으로, 나머지 4억원은 시설 설비에 재투자할 계획이다. 
|